
어리석은 중생(衆生)을 제도(濟度)하기 위하여 부처님이 설(說)하신
법화경(法華經)이라는 거룩한 경전이 있다.
그 법화경 비유품(譬喩品)에 삼계화택(三界火宅)이라고 불난 집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을 삼계(三界=欲界. 色界. 無色界)라 하고
그 속에 사는 중생을 철모르고 뛰노는 아이들로 비유했다.
깨달으신 부처님(아버지)의 눈으로 보니 그대로 두면 모두가 다 타 죽을 것이
분명하여 불이 났으니 빨리 나오라 하였으나 아이들은 듣지 아니하니,
방편으로 양이나 사슴이 끄는 좋은 장난감 마차가 있으니 나오라고 아이들을 꼬여 낸 것이다.
아이들이 나와 보니 좋은 장난감(마차)은 보이지 않았다.
아버지(부처님)는 아이들(중생)에게 지금 놀고 있던 집(자기중심적이고
자기 이익을 위주로 사는 삶)이 불난 집에 있는 것과 같고, 급히 불러낸 것은
그렇게 살면 안 된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한 방편(方便)이였다고 한다.
거짓말은 자신의 이익을 위한 욕심에서 의도적으로 출발하고,
방편은 만인의 이익을 위한 거룩한 마음에서 출발한 것이다.
석가나 예수, 공자나 노자 같은 성인의 가르침은, 어리석은 중생이 깨달아 행복한 삶을
살아가도록 하기 위해 방편(方便)이나 비유(比喩)로 설(說)하신 것이다.
'프로드리히 니이체'는 이런 경전들을 '거룩한 허언(虛言)'
또는 '훌륭한 거짓말'이라 표현했는데 "그 거짓말 속에 거룩함과 훌륭함이
들어 있는 것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 것이다.
아직도 대개의 종교인들은 경전이나 성경에 나오는 방편이나 비유를 사실(事實)로 믿고,
위대한 신(神)의 능력이 있는 줄 알고, 그 능력이 나에게 나타나기를 바라고 있으니 안타까운 일이다.
경전에서 양이나 사슴의 수레가 있다고 한 것은 편안히 타고 갈 것을 암시함인데
혼자 깨달아 가지 말고 모두가 다 깨달아 함께 큰 배(大乘)로 괴로움의 강을 건너
평화(平和)와 행복(幸福)이 충만한 정토(淨土)로 가자는 뜻이 담겨있다.
------맹물(성담)이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