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이 사십 이 넘으면 자기 얼굴에 책임을 지라는 말이 있다.
이는 자신이 지금까지 살면서 행한 일(業)들이 얼굴에 나타난다는 말인데
그래서 내가 행(行)한 과보(果報)로 일어나는 모든 일에 대해서는 내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뜻이다.
사람 나이 오십이 되면 얼굴에 격(格)이 정해진다고 도 한다.
우리는 대게 첫 인상이 차거나 험상궂게 느껴지는 얼굴을 천격(賤格)이라하고
처음인데도 사람이 좋아 보이는 얼굴, 얼굴에 왠지 모를 즐거움과 기쁨이 어려 있는 얼굴을
귀격(貴格)이라고 한다.
천격(賤格)에는 3가지가 있는데 얼굴에 욕심이 가득 찬 것이 탐안(貪顔)이고
얼굴에 분노가 어려 있는 것은 진안(瞋顔)이라 하고
얼굴에 앞, 뒤가 꼭 막혀 말귀를 잘 못 알아듣는 것 같은 얼굴은 치안(痴顔)이라 한다.
황혼기에 낙향(落鄕)을 하여 자연과 벗 삼아 사는 사람에게 어떤 사람들이
찾아오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인생을 평가 한다고 도 한다.
대개 두 종류의 사람들이 찾아오는데 하나는 은혜를 갚으려고 찾아오는 은인(恩人)과
다른 하나는 복수를 하려고 찾아오는 원수(怨讐)가 있다.
-------성담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