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느 종교를 막론하고 경전을 보면 평범한 사람들이 쉽게 이해가 안되는
구절들이 있는데 이런 문구를 꼬집어 그 종교를 나름대로 평가해서는 안된다.
종교란 시대적 배경과 위치와 풍습에 따라 이해를 돕기 위해
비유와 방편으로 쓰여 있다는 것을 명심 해야 하므로 현 싯점에서
옳고 그름을 논할 수는 없는 것이다.
불교에서 석가모니 부처님의 탄생 설화와 태어나면서 일곱 발자욱을 걸어가
천상천하 유아 독존이라고 한 것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나
경전은 그 시대의 문학이며 픽션과 논픽션이 함께 내포되어 있음을 인식하면
의문이 눈 녹듯 풀리는 것이다.
천상천하 유아독존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깨달음 중에 첫번째에 해당되는
중요한 것이니 그 뜻을 강조하기 위해 태어나는 즉시라고 표현한 것이다.
경전은 기독교의 성경처럼 일점 일획이라도 고치면 안되는 것이 아니라
석가모니 부처님이 중생의 깨달음을 위해 설(說)하신 것을
제자들이 보고 들고 써 놓은 것이니 팔만 사천 법문이 다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에 불과하다는 비유을 깨닫는 순간 불교의 문이 활짝 열리는 것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존재는 지금 여기 나"라는 사실을 깨달으라는 설법입니다.
국가 보다 종교보다 인연보다 그 어떤 것 보다 가장 중요한 것이 지금 여가 "나 "이며
그 무엇도 내 인생과 바꿀 수도 없고, 그 무엇도 내 인생을 대신 살아줄 수 없습니다.
이 세상은 나와 무관 것은 하나도 없고 그물코 처럼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살아가느 것이니
내 인생은 내가 주체적 존재로 내 삶을을 만들어가야 하므로 고귀한 존재라는 것입니다.
-----맹물이 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