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악의 피안(善惡의 彼岸)호반별장

선도 버리고 악도 버려라. 그것은 네 마음이 만든 것이니라.

본래 고요의 땅에 생명의 빛이..............

일분 법문

무위도인(無爲道人)

맹물훈장 2012. 11. 5. 22:50
(지극히 높은 도(道)는 어렵지 않다.
오로지 간택함을 꺼릴 뿐이다.)
초조 '달마' 대사의 법통을 이어받은 2조 '혜가'에 이어 그의 제자인 
3조 '승찬'대사가 지은 신심명(信心銘)에 나오는 구절이다.
즉 좋아하고 싫어하지만 않는다면 투명하고 명백한 도를 느낄 수 있다는 말이다.
"당신은 누구십니까?" 하고 무위 도인에게 불었다.
"나는 티끌(地)이고, 구름(水)이며, 빛(火)이고, 바람(風)이고, 허공(空)이요." 라고 한다.
근본적(根本的)인 이 대답에 우주(宇宙)와 내가 하나임을 느끼는 화두(話頭)이다.
'나'는 무엇인가?
나는 세상(世上)을 비춰 보는 맑은 거울(鏡)이다.
거울(내 마음)에 비친 사물(事物)이 사실(事實)이 아니라 그냥 존재(存在)의 일부분만을 
비춰 반사할 뿐이라는 말이다.
그런데 본성(本性 = 我)은 그냥 비춰만 보이는 맑은 거울(鏡)이였는데 
시간이 지날 수 록 거기에 집착(執着)이란 때(垢)가 끼이므로 본성(本性)이 흐려져
좋다, 싫다, 분별하는 '나'가 생(生)하여 고통(苦痛)과 고난(苦難)에서 허덕이고 있다.
그래서 선사(禪師)들은 우리에게 "누구나 부처(佛)로 태어났지만 부처인 줄 모르고 
중생(衆生)으로 산다"고 가르쳐 주신다.
수행(修行)은 이 거울(鏡)에 때를 깨끗하게 닦아내어 
본래(本來)의 맑은 거울에 모습을 찾아내는 작업이다.
거울에 비친 세상은 실(實) 다움이 없는 그냥 그림자와 같은 잠시 비춰 머물다 
사라지는 허상(虛相)이니 그냥 비춰 볼 뿐, 좋다, 나쁘다, 분별(分別)하지만 않는다면 
내가 없는 것과 같은 무아(無我)가 된다.
거울(鏡)이 사물을 비춰 자신에게 들어오는 상(相)에 대해 무슨 불만(不滿)이 있겠는가?
만사(萬事)를 밝게 비춰는 보돼, 분별하고 시비하지 않는다면 
이 세상(世上)은 한 점도 고칠 것이 없이 완벽한 화엄세계(華嚴世界)라네.
무위도인(無爲道人)은 세상이 돌아가는 길(道=理致)을 훤히 알고,
"그러려니,,,", 하며, 어디에 있든 만족하는 삶을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맹물(성담)이옵니다--------

'일분 법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부 리모델링  (0) 2012.11.24
집착하지 않고 감사하는 마음  (0) 2012.11.14
어디에 있었는가  (0) 2012.10.09
묻지도 않았는데  (0) 2012.09.27
그러려니,,,,  (0) 2012.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