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아함경에 붓다께서 세상에 극복해야 할 세가지 그릇된 견해가 있다고 설(說)하셨다.
그 첫번째는 "사람의 모든 일은 일체가 다 숙명(宿命)으로 만들어 졌다"는 것이요.
둘째는 "사람의 모든 일은 다 일체가 다 신(神)이 만든 것이다"라는 주장이며,
셋째는 "모든 일은 아무런 인연도 없는 우연(偶然)이다"라는 주장이다.
지혜있는 자들이 파벌을 만들어 서로 주장을 달리하지만 인생에 있어 아무런 소득이 없기에
나는 저들의 주장에 맞서 연기법(緣起法)을 깨닫고 중생에게 가르치고 있다.
이것은 인간이 자신의 지혜로운 선택에 의해 자기를 만들어 가는 길이다.
행복에의 가능성은 모든 존재가 서로 서로 상의(相依) 관계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너의 행복이 곧 나의 행복으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 내가 어떤 마음을 내어 어떤 업(業)을 짓느냐에 따라 행. 불행이 오며
운명이 변할 수 있으므로 행복이란 현재 진행형이라 한다.
연기법은 우리가 상대적으로 분별하고 있는 행, 불행, 좋고, 나쁨의 일체의
이원론적 사고방식을 거두어들인다.
왜냐하면 양 극단의 분별은 타인과의 관계성이고 주관적이기 때문에 조건이나 상황에 따라
끊임없이 변하므로 무상성(無常性)이고, 행 불행은 고정된 실체가 없으므로 무아성(無我性)이다.
즉 연기된 모든 것은 무상(無常)하고 무아(無我)이니 어느 한 극단으로 바라보고 판단해서는 안 되며,
항상 중도적(中道的) 입장에서 대상을 바라보는 정견(正見)과 정사(正思)로 행복감을 느껴야한다.
초기 불교의 행복론은 연기(緣起),중도적(中道的) 관점을 바탕으로 행복에 집착하지도 않고, 불행을
거부하지도 안으며 불행도 인생의 한 부분임을 알아 그냥 담당하게 받아들이고,
행복도 너무 거창하게 칭송하지 않고 담백하게 담아낼 줄 아는 지혜를 채득하라 하셨다.
행복을 원하십니까?
지금 그대 옆에 있는 사람을 행복하게 하여 주십시오.
그러면 그대가 행복해집니다.
------맹물(성담)이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