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나라에 '오기'라는 신하가 '무후왕'을 모셨는데 무후왕은 가끔 신하들을
모아놓고, 자신의 의견을 내 놓으며 더 좋은 의견이 있으면 내어보라고 한다.
신하들이 좋은 의견을 내지 못하면 무왕은 만족해하며 회의를 마치고 나간다.
어느 날 오기는 '무후왕'에게 옛날 초나라 '장왕'의 얘기를 하였다.
장왕은 신하들의 의견이 자기보다 좋은 것이 없으면 얼굴에 근심이 가득하여
신공이 그 까닭을 물었더니,
"어느 시대든 성인(聖人)이 있고 어느 나라에든 현자(賢者)가 있기 마련인데,
내 곁에는 나보다 더 좋은 의견을 낼 수 있는 그런 인재(人才)가 없으니
나라의 앞날이 걱정이 되어 그렇소."라고 하였다고 하며,
"장왕은 신하의 무능함을 한탄했는데 폐하께서는 오히려 그 것을 기뻐하고 계시니
이 나라의 앞날아 걱정입니다."라고 직언(直言)을 하였다.
'이성계'왕이 한양으로 도읍을 옮기려고 하니 많은 신하들이, 천도는 안 된다고 상소를
올리고 석고대죄를 하여 심기가 불편한데, '정도전'은 이성계에게,
"오래 만에 이 나라에 새로운 활기가 차 보입니다.
지금 신하는 신하의 직분을 다 하고 있습니다. 신하가 백성을 대변해 왕에게
할 말을 못한다면 어찌 올바른 신하라 할 수 있습니까?".
이성계가, "그럼 그대가 생각하는 임금의 직분은 무엇인가?"라고 물으니,
"그건 듣는 것입니다. 참는 것입니다. 그리고 품는 것입니다."라고 대답 했다.
이 얼마나 고귀한 직언인가?
대개 직위가 높으신 분들은, 남의 의견이 자기와 차이가 나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고 틀린 것이라고 단정해 버리고,
자기 주장만 옳다고 하며 갑질을 하는 자(者)들이 있다.
또는 어리석은 자가 이익에만 집착하여 나 밖에 없다고 ' 나 뿐이다.' 라고
고집하는 사람(者)을 옛 부터 '나쁜 놈' 이라고 했다.